피들러는 패킷 캡처 프로그램이다.
본 기능 이외에 많이 사용되는 곳은 아마도 내부망을 통해 아직 출시하지 않거나 수정 중인 앱을 테스트할 경우가 아닌가 싶다.
이 글에서는 피들러의 proxy에 대해서 작성해보겠다.
앱 - proxy(local pc) - 내부망 서비스
설치하기
아래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자.
https://www.telerik.com/fiddler
DOWNLOAD NOW 버튼을 클릭
다운로드한 FiddlerSetup.exe(약 6MB) 실행하여 설치하자.
I Agree
경로 설정을 하고 Install
설치가 완료되었다.
실행하기
윈도 시작 메뉴에서 Fiddler를 검색하거나
윈도 시작 메뉴에서 찾아 실행하자
실행되었다. "AppContainer"라는 기술이 때문에 엣지에서 캡처가 방해받을 수 있다고 한다.
이때는 Fiddler's의 toolbar에서 winconfig 버튼을 클릭하면 해결된다고 한다.
캡처를 종료하려면 file에서 Capture Traffic 체크박스를 해제하고 반대로 다시 사용하려면 체크박스를 해준다.
proxy 설정
설치 후 프락시 설정이 필요한 부분은 Connections 탭에 Allow remote computers to connect를 체크하고 fiddler를 재시작만 하면 된다. 까먹지 말자 fiddler 재시작 필수!!!
Tools-> Options
General 탭
HTTPS 탭
https도 캡처하려면 이 탭에 Capture HTTPS CONNECTs를 체크해야 한다. 기본값 체크됨.
다만 HTTPS는 암호화되어 있어 실제 데이터를 해독해야 볼 수 있다.
관련한 옵션이 Decrypt HTTPS traffic이다. 다만 해독작업 때문에 속도 지연이 발생한다.
Connections 탭
여기서 Allow remote computers to connect를 선택하면 된다.
접속 시 사용할 PORT번호는 8888이며 변경 가능하다.
Gateway 탭
기본값으로 Use System Proxy가 선택되어 있다.
Appearance 탭
Scripting
추가적으로 다른 탭 메뉴도 넣어봤다.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지 한번 둘러보자.
이제 모바일 단말기에서 proxy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.
윈도 시작 메뉴에서 cmd (명령 프롬프트)를 검색하고 실행하자.
실행 후 ipconfig를 입력하여 IP를 확인할 수 있다.
나는 내부망이라 사설 ip이다.
모바일 단말기 와이파이 설정을 하자.
우선 내부망 와이파이를 선택하고 우측 설정
고급
프락시 -> 수동
그리고 확인했던 피들러가 설치된 PC의 IP와 피들러에서 설정한 PORT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.
설정이 끝나면 실제로 모바일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트래픽 캡처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다시 한번 이야기하는데 피들러 설정을 변경하면 반드시 피들러 재시작이 필요하다!!
다음에 시간이 나면 피들러의 다른 기능 사용법을 소개하겠다.
패킷 분석하는 방법이나 피들러로 post man 처럼 헤더와 내용을 만들어서 request를 발생시킬 수 있다.
'IT > Tool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트리밍 녹화하기 (0) | 2021.04.22 |
---|---|
이클립스(eclipse) 설치 (0) | 2020.09.18 |
JMETER(제이미터) 부하테스트 (1) | 2020.09.16 |
PDF 여러 파일 합치기 (0) | 2020.07.28 |
virtual ethernet 가상 네트워크 어댑터(랜카드) 추가 하기 (1) | 2020.07.03 |